데이터 전처리: 동기화 기법 – 이벤트 기반 동기화
ㅁ 동기화 기법
ㅇ 정의:
데이터 변경이 발생할 때마다 이벤트를 트리거로 하여 실시간 또는 준실시간으로 다른 시스템에 해당 변경 내용을 반영하는 방식.
ㅇ 특징:
– 변경 감지 후 즉시 전송하여 지연 시간이 짧음.
– 이벤트 브로커(Kafka, RabbitMQ 등)나 Change Data Capture(CDC) 기술을 활용.
– 네트워크 부하가 변경 건수에 비례.
ㅇ 적합한 경우:
– 재고 관리, 결제 처리 등 실시간 동기화가 필요한 업무.
– 데이터 변경 빈도가 낮지만 즉시성이 중요한 시스템.
ㅇ 시험 함정:
– 이벤트 기반 동기화는 항상 실시간이 아니라, 이벤트 처리 지연이 발생할 수 있음.
– 변경이 잦은 경우 네트워크 및 처리 부하가 높아질 수 있음.
ㅇ 시험 대비 “패턴 보기” 예시:
O: “데이터 변경 시 이벤트를 발생시켜 다른 시스템에 전달하는 방식이다.”
X: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모아 전송하는 방식이다.”
ㅁ 추가 학습 내용
이벤트 기반 동기화에서는 메시지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ACK 메커니즘과 재시도 로직이 필수적이다. 장애 발생 시에는 이벤트 순서 보장(Ordering)과 중복 처리(Deduplication) 전략이 필요하다.
이벤트 기반 동기화와 폴링 기반 동기화의 장단점 비교가 자주 출제되므로 함께 학습해야 한다. 폴링 기반 방식은 주기적인 조회로 인해 지연과 불필요한 요청이 발생하지만, 구현이 단순하다는 장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