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데이터 타입 및 변환 – np.ceil()

ㅁ 데이터 타입 및 변환

ㅇ 정의:
np.ceil()은 NumPy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함수로, 입력된 실수 값을 올림하여 가장 가까운 정수 값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ㅇ 특징:
– 결과값은 float 형태로 반환되며, 소수점 이하 값이 0으로 표시된다.
– 음수 값의 경우에도 절댓값 방향으로 올림 처리된다. 예: np.ceil(-1.2) → -1.0
– 배열, 리스트, 스칼라 값 모두 입력 가능하다.

ㅇ 적합한 경우:
– 가격, 수량 등에서 최소 단위 이상의 값을 보장해야 하는 경우
– 데이터 분석 시 구간 경계값을 올림 처리해야 하는 경우

ㅇ 시험 함정:
– np.ceil()은 int가 아닌 float로 반환한다는 점을 혼동하기 쉽다.
– 올림(ceil)과 반올림(round), 내림(floor)을 혼동하는 문제 출제 가능성이 높다.

ㅇ 시험 대비 “패턴 보기” 예시:
O: np.ceil(3.2) → 4.0
O: np.ceil(-1.7) → -1.0
X: np.ceil(3.2) → 4 (정수형 반환)
X: np.ceil(-1.7) → -2.0

ㅁ 추가 학습 내용

np.ceil()은 입력값보다 크거나 같은 최소 정수를 반환하며, 결과 타입은 항상 float64이다. 정수형이 필요한 경우 astype(int) 또는 np.int64로 변환해야 한다.
np.floor()는 입력값보다 작거나 같은 최대 정수를 반환하고, np.trunc()는 소수점을 단순히 버린다. np.round()는 반올림 처리하며, 각 함수의 동작 차이를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
이들 함수는 벡터 연산을 지원하므로 대규모 데이터셋에서도 반복문 없이 빠르게 처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성능상의 장점이 시험 문제에서 다뤄질 수 있다.

답글 남기기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