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인프라 및 자동화 – Kubernetes Operators

ㅁ 인프라 및 자동화

ㅇ 정의:
Kubernetes Operators는 Kubernetes의 Custom Resource Definition(CRD)와 컨트롤러를 활용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의 배포, 구성, 업그레이드, 복구 작업을 자동화하는 패턴이다.

ㅇ 특징:
– 애플리케이션의 라이프사이클 관리 자동화
– 도메인 지식을 코드로 구현하여 운영 복잡성 감소
– Kubernetes API와 네이티브하게 통합
– 선언형(Declarative) 방식으로 구성

ㅇ 적합한 경우:
–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Stateful 애플리케이션 운영 시
– 반복적인 운영 작업을 자동화해야 할 때
– 복잡한 배포 절차를 단순화하고 표준화하려는 경우

ㅇ 시험 함정:
– Operators는 단순한 배포 스크립트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리소스를 관찰하고 상태를 조정하는 컨트롤러라는 점을 혼동할 수 있음
– Helm Chart와 Operators의 차이를 구분하는 문제에서 혼동 가능

ㅇ 시험 대비 “패턴 보기” 예시:
O: “Kubernetes Operators는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자동으로 조정한다.”
X: “Kubernetes Operators는 한 번 실행 후 종료되는 배포 스크립트이다.”

ㅁ 추가 학습 내용

Kubernetes Operators 학습 정리

1. Kubernetes Operators 구성 요소
– CRD(Custom Resource Definition): Kubernetes API를 확장하여 사용자 정의 리소스를 정의하는 객체
– Controller: CRD로 생성된 리소스를 감시하고, 원하는 상태(Desired State)로 시스템을 조정하는 로직을 수행

2. Operator SDK 사용법
– Operator 개발을 위한 도구로, Go, Ansible, Helm 기반 Operator를 생성 가능
– 프로젝트 초기화, CRD 생성, Controller 구현, 빌드 및 배포 과정을 지원

3. Helm과 Operators의 차이점
– Helm: Kubernetes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위한 패키지 매니저, 템플릿 기반
– Operator: 애플리케이션의 배포뿐 아니라 상태 관리, 업그레이드, 복구 등 운영 로직을 자동화

4. Operator 패턴의 5단계 수준
– Basic: 단순 설치 및 구성 자동화
– Seamless Upgrades: 무중단 업그레이드 지원
– Full Lifecycle: 백업, 복구, 스케일링 등 전체 라이프사이클 관리
– Deep Insights: 애플리케이션 상태 모니터링 및 분석
– Autopilot: 자율적으로 문제를 감지하고 대응하는 완전 자동화

5. Kubernetes 리소스와 Operators의 관계
– Deployment, StatefulSet 등 기본 리소스를 Operator 내부에서 활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배포 및 상태 관리
– StatefulSet: 상태를 가지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 Deployment: 무상태 애플리케이션 관리

6. 실제 운영 사례
– MongoDB Operator: MongoDB 클러스터 배포, 스케일링, 백업, 복구 자동화
– Prometheus Operator: Prometheus 모니터링 스택 배포 및 설정 자동화

7. 장애 복구 시나리오
– Pod 장애 시 재시작 및 데이터 복구
– 노드 장애 시 재스케줄링 및 상태 유지
– 데이터 손실 방지를 위한 백업 및 복원 절차 자동화

답글 남기기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