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타입 및 변환: round()
ㅁ 데이터 타입 및 변환
ㅇ 정의: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처리하기 위해 적절한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
ㅇ 특징:
–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함.
– 다양한 데이터 타입 간의 변환이 가능하며, 수치형, 문자열형, 날짜형 등이 포함됨.
ㅇ 적합한 경우:
– 데이터 분석 시 데이터 타입이 일치하지 않아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 데이터 시각화나 모델링을 위해 특정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해야 하는 경우.
ㅇ 시험 함정:
– 데이터 타입 변환 시 정보 손실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
– 변환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음.
ㅇ 시험 대비 “패턴 보기” 예시:
– O: 데이터 타입 변환은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 X: 데이터 타입 변환은 항상 데이터 손실을 유발한다.
================================
1. round()
ㅇ 정의:
소수점 이하의 숫자를 반올림하여 특정 자리수로 표현하는 함수.
ㅇ 특징:
– 주로 수치 데이터의 간소화나 정밀도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됨.
– Python에서 round(숫자, 자리수) 형태로 사용 가능.
ㅇ 적합한 경우:
– 계산 결과를 간소화하여 가독성을 높이고자 할 때.
– 특정 자리수까지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경우.
ㅇ 시험 함정:
– 반올림의 기준(0.5 이상일 때 올림, 미만일 때 내림)을 잘못 이해하는 경우.
– 자리수 지정이 없는 경우 기본적으로 소수점 첫째 자리로 반올림됨.
ㅇ 시험 대비 “패턴 보기” 예시:
– O: round()는 소수점 이하를 반올림하는 함수이다.
– X: round()는 항상 소수점 셋째 자리로 반올림한다.
================================
ㅁ 추가 학습 내용
round() 함수는 주어진 숫자를 특정 소수점 자리로 반올림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를 데이터 분석과 금액 처리에 응용하는 방법을 학습하면 실무와 시험 대비에 유용합니다. 아래는 학습에 적합한 내용입니다.
1. **round() 함수의 기본 사용법**:
– round(숫자, 소수점 자리): 숫자를 지정한 소수점 자리로 반올림합니다.
– 예: round(3.14159, 2)는 3.14를 반환합니다.
2. **데이터 분석에서 평균 계산 후 반올림**:
– 데이터의 평균값 계산 후 소수점 두 자리로 반올림:
– 예:
– 데이터: [10, 20, 30]
– 평균: sum([10, 20, 30]) / len([10, 20, 30]) = 20.0
– 반올림: round(20.0, 2) → 결과: 20.0
– 이와 같은 방식으로 데이터를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3. **금액 데이터 처리에서 반올림**:
– 금액 데이터를 처리할 때 반올림은 정확한 계산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 예:
– 상품 가격: 123.456
– 반올림: round(123.456, 2) → 결과: 123.46
– 반올림은 금융 데이터에서 소수점 두 자리까지 표현하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4. **ceil() 및 floor()와의 차이점**:
– ceil(): 숫자를 올림하여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환.
– 예: math.ceil(3.2) → 4
– floor(): 숫자를 내림하여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환.
– 예: math.floor(3.8) → 3
– round()는 반올림 기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며, ceil()과 floor()는 항상 숫자를 올리거나 내리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5. **응용 사례 비교**:
– round(3.5) → 4 (반올림)
– math.ceil(3.5) → 4 (올림)
– math.floor(3.5) → 3 (내림)
이와 같은 내용을 학습하면 round() 함수의 활용뿐만 아니라 관련 함수들과의 차이점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