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스템 구축: 자동화 기법 – 이벤트 기반 Task Trigger

ㅁ 자동화 기법

ㅇ 정의:
특정 이벤트(데이터 도착, 상태 변화, 외부 신호 등)가 발생했을 때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작업(Task)을 실행하는 방식.

ㅇ 특징:
– 사전에 정의된 이벤트 조건에 따라 즉시 작업이 실행됨
– 폴링(polling) 방식 대비 리소스 절약 가능
– 이벤트 소스와 처리 로직 간 결합도가 높아질 수 있음
– 실시간 처리와 반응성이 중요한 환경에서 선호됨

ㅇ 적합한 경우:
– 실시간 데이터 처리(예: IoT 센서 데이터 수집)
– 로그/메시지 기반 분석 파이프라인
– 클라우드 환경에서 서버리스 함수 트리거

ㅇ 시험 함정:
– 이벤트 기반과 스케줄 기반 트리거의 차이를 혼동
– 이벤트 발생 시점과 작업 실행 시점이 항상 동일하다고 착각
– 이벤트 누락이나 중복 처리에 대한 고려 부족

ㅇ 시험 대비 “패턴 보기” 예시:
O: “데이터가 수신되면 즉시 분석 작업을 실행하는 방식”
X: “매일 자정에 자동으로 실행되는 작업”

ㅁ 추가 학습 내용

이벤트 기반 Task Trigger는 다음과 같은 특징과 시험 포인트가 있다.

1. 구현 방식
– 메시지 큐(Kafka, RabbitMQ) 또는 클라우드 이벤트 서비스(AWS EventBridge, Azure Event Grid)와 결합하여 구현하는 경우가 많다.
– 이벤트 소스와 리스너 간 비동기 처리 구조를 이해해야 한다.

2. 주요 시험 출제 영역
– 비동기 처리 메커니즘
– 재시도 로직 설계
– 장애 복구 전략

3. 추가 고려 사항
– 이벤트 필터링: 필요 없는 이벤트는 걸러내어 효율성 확보
– 우선순위 처리: 중요 이벤트를 먼저 처리
– 이벤트 폭주(thundering herd) 방지: 대량 이벤트 발생 시 시스템 과부하를 막는 기법

4. 설계 시 주의점
– Idempotency(중복 실행 방지): 동일 이벤트가 여러 번 처리되어도 결과가 변하지 않도록 설계
– 트랜잭션 경계 설정: 데이터 무결성과 직결되며, 시험에서 함정 문제로 출제될 수 있음

답글 남기기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