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모델 개발: 주요 구조
ㅁ 주요 구조
ㅇ 정의:
에이전트 기반 AI에서 시스템이 동작하는 기본적인 구조와 구성 요소를 의미하며, 단일 에이전트 또는 다중 에이전트 간의 상호작용 방식을 포함한다.
ㅇ 특징:
– 자율성, 환경 인식, 목표 지향성, 상호작용 가능성
– 구조에 따라 성능, 확장성, 복잡성이 달라짐
ㅇ 적합한 경우:
– 분산 환경, 협업 작업, 복잡한 의사결정이 필요한 시스템 설계 시
ㅇ 시험 함정:
– 단일 에이전트와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의 차이 혼동
– 프로토콜과 구조 개념을 동일시하는 오류
ㅇ 시험 대비 “패턴 보기” 예시:
O: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은 각 에이전트가 독립적으로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X: “에이전트 기반 AI의 주요 구조는 항상 중앙집중식 제어를 사용한다.”
================================
1. Agentic AI
ㅇ 정의:
개별 에이전트가 자율적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AI 구조.
ㅇ 특징:
– 환경 센싱, 계획 수립, 실행 모듈 포함
– 외부 지시 없이 목표 달성을 위한 행동 가능
– 강화학습, 계획 알고리즘과 결합 가능
ㅇ 적합한 경우:
– 동적 환경에서의 실시간 의사결정
– 로봇 제어, 개인화 서비스, 자율 주행 등
ㅇ 시험 함정:
– Agentic AI를 단순한 규칙 기반 시스템과 혼동
– 자율성과 자동화의 차이 구분 실패
ㅇ 시험 대비 “패턴 보기” 예시:
O: “Agentic AI는 환경 변화에 따라 스스로 행동 계획을 수정할 수 있다.”
X: “Agentic AI는 반드시 사람의 명령을 받아야만 작동한다.”
================================
2. Multi-Agent System
ㅇ 정의:
여러 개의 자율 에이전트가 상호작용하며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거나 개별 목표를 추구하는 시스템.
ㅇ 특징:
– 협력, 경쟁, 협상 등의 상호작용 패턴 존재
– 분산 처리, 확장성 우수
– 통신 프로토콜과 조율 메커니즘 필요
ㅇ 적합한 경우:
– 대규모 시뮬레이션, 분산 문제 해결, 스마트 그리드, 교통 제어
ㅇ 시험 함정:
–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이 항상 협력적이라고 오해
– 단일 에이전트의 성능 한계를 다중 에이전트가 자동으로 극복한다고 생각하는 오류
ㅇ 시험 대비 “패턴 보기” 예시:
O: “Multi-Agent System에서는 에이전트 간의 경쟁 관계가 발생할 수 있다.”
X: “Multi-Agent System은 중앙 서버 없이 구현이 불가능하다.”
================================
3. A2A Protocol
ㅇ 정의:
Agent-to-Agent 통신을 위한 표준화된 프로토콜로, 에이전트 간 정보 교환과 협업을 가능하게 함.
ㅇ 특징:
– 메시지 형식, 전송 규칙, 오류 처리 규정 포함
– 실시간/비실시간 통신 지원
– 상호 운용성 확보를 위해 표준 준수 필요
ㅇ 적합한 경우:
– 이기종 에이전트 간 협업
– 분산 환경에서의 안정적인 데이터 교환
ㅇ 시험 함정:
– A2A Protocol을 단순한 API 호출로 오해
– 통신 프로토콜과 데이터 포맷을 혼동
ㅇ 시험 대비 “패턴 보기” 예시:
O: “A2A Protocol은 서로 다른 개발 환경에서 구현된 에이전트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X: “A2A Protocol은 오직 동일한 플랫폼에서만 동작한다.”
ㅁ 추가 학습 내용
Agentic AI와 Multi-Agent System 비교
– 자율성 수준: Agentic AI는 개별 에이전트가 높은 자율성을 가지고 독립적으로 목표를 수행, Multi-Agent System은 여러 에이전트가 상호작용하며 자율성은 개별 및 집단 수준에서 조율됨
– 통신 필요성: Agentic AI는 단일 에이전트 중심으로 통신 필요성이 낮거나 없음, Multi-Agent System은 에이전트 간 통신이 필수적
– 적용 사례: Agentic AI는 개인 비서, 자동화된 의사결정 시스템 등에 활용, Multi-Agent System은 분산 문제 해결, 시뮬레이션, 분산 제어 시스템 등에 활용
A2A Protocol과 FIPA 표준 관계
– A2A Protocol은 에이전트 간 통신을 위한 규약 중 하나이며, FIPA 표준은 이러한 통신 규약을 정의하는 국제 표준
– FIPA는 메시지 구조, 상호작용 프로토콜, 에이전트 관리 등을 포함하며 A2A Protocol은 이를 구현하거나 참조할 수 있음
프로토콜과 프레임워크의 차이
– 프로토콜: 에이전트 간 상호작용 규칙과 메시지 형식을 정의
– 프레임워크: 에이전트 개발과 실행을 지원하는 환경 및 도구 세트
메시지 구조 주요 요소
– Performative: 메시지의 의도(예: 요청, 응답, 제안)
– Content: 메시지 내용
– Sender: 메시지를 보낸 에이전트
– Receiver: 메시지를 받는 에이전트
Multi-Agent System 시나리오 차이
– 협력(Cooperative): 에이전트들이 공동 목표를 위해 정보와 자원을 공유하며 협력
– 경쟁(Competitive): 에이전트들이 제한된 자원이나 목표 달성을 위해 서로 경쟁
조율 메커니즘 예시
– Contract Net Protocol: 작업을 제안하고 입찰을 받아 최적의 에이전트를 선정하는 방식
– Auction-based Coordination: 경매 메커니즘을 통해 자원이나 작업을 분배하는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