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모델 개발: 주요 구조 – A2A Protocol

ㅁ 주요 구조

1. A2A Protocol

ㅇ 정의:
에이전트(Agent) 간에 직접 통신하여 데이터를 교환하고 작업을 조율하는 통신 규약으로, 중앙 서버 없이 P2P 형태로 메시지를 주고받는 프로토콜.

ㅇ 특징:
– 중앙 집중형 아키텍처 없이 에이전트 간 직접 연결
– 메시지 포맷, 전송 규칙, 오류 처리 방식이 표준화됨
– 실시간 협업과 분산 환경에서 유리
– 네트워크 지연이나 연결 불안정 시 성능 저하 가능

ㅇ 적합한 경우:
– 분산형 AI 시스템에서 에이전트 간 빠른 정보 교환이 필요한 경우
– IoT, 로봇 군집 제어, 멀티에이전트 시뮬레이션

ㅇ 시험 함정:
– A2A Protocol이 반드시 인터넷 기반이라는 오답 유도 → 로컬 네트워크나 폐쇄망에서도 사용 가능
– 중앙 서버를 반드시 거친다고 혼동하기 쉬움

ㅇ 시험 대비 “패턴 보기” 예시:
O: “A2A Protocol은 에이전트 간 직접 통신을 위한 규약이다.”
X: “A2A Protocol은 반드시 중앙 서버를 통해서만 통신한다.”
O: “A2A Protocol은 분산 환경에서 실시간 협업에 유리하다.”
X: “A2A Protocol은 인터넷 연결이 없으면 사용할 수 없다.”

ㅁ 추가 학습 내용

A2A(Agent-to-Agent) 프로토콜은 에이전트 간 직접 통신을 통해 분산성과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러나 네트워크 안정성에 크게 의존하며, 보안 관리가 필수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A2B(Agent-to-Backend)는 에이전트가 중앙 백엔드 서버와 통신하는 구조로, 중앙 집중적 관리와 통제가 가능하지만 분산성은 낮다.
A2H(Agent-to-Human)는 에이전트가 사람과 직접 상호작용하는 구조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알림 시스템과의 연계가 중요하다.

시험 대비 시 A2A와 A2B, A2H의 구조적 차이와 장단점을 비교하는 문제가 자주 출제된다.
특히 다음 세부 구현 요소가 출제될 수 있다.
– 메시지 직렬화 방식: JSON, Protobuf 등 데이터 전송 포맷의 특징과 장단점
– 보안 프로토콜: TLS 적용 여부, 인증 토큰 사용 등 보안 강화 방법
– 장애 복구 메커니즘: 재전송, 큐잉 등을 통한 안정적인 메시지 전달 보장 방법

답글 남기기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