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모델 개발: 핵심 개념 – ANI
ㅁ 핵심 개념
ㅇ 정의:
인공지능의 세부 구분 중 하나로, 특정 작업(Task)에만 특화된 인공지능을 의미한다. ‘좁은 인공지능(Narrow AI)’ 또는 ‘약인공지능(Weak AI)’이라고도 불린다.
ㅇ 특징:
– 특정 영역에서만 동작하며, 다른 영역으로의 일반화가 불가능하다.
– 사전에 정의된 규칙, 알고리즘, 또는 학습된 모델을 기반으로 동작한다.
– 음성인식, 이미지 분류, 추천 시스템 등 현재 상용화된 대부분의 AI 서비스가 ANI 범주에 속한다.
ㅇ 적합한 경우:
– 명확한 목표와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 한정된 범위의 문제 해결이 필요한 경우
– 실시간 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경우(예: 챗봇, 자율주행의 일부 기능)
ㅇ 시험 함정:
– ANI를 ‘모든 지능적 작업을 수행하는 AI’로 오인하게 하는 문항
– ANI를 AGI(범용 인공지능) 또는 ASI(초지능)와 혼동시키는 보기
– ‘현재 존재하는 모든 AI는 AGI’라는 잘못된 진술 제시
ㅇ 시험 대비 “패턴 보기” 예시:
O: “음성비서 서비스는 ANI의 대표적인 예이다.”
X: “ANI는 인간 수준의 모든 인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ㅁ 추가 학습 내용
구분표: ANI, AGI, ASI
구분 | 정의 | 특징 | 현재 적용 사례 | 한계 | 극복 연구 방향
ANI (Artificial Narrow Intelligence, 인공지능 약인공지) | 특정 작업만 수행 가능한 인공지능 | 한정된 영역에서 높은 성능 발휘, 범용성 없음 | 스팸메일 필터링, 이미지 태그 자동 생성, 음성인식 안내 서비스 | 새로운 상황 적응력 부족, 다른 분야로 지식 전이 어려움 | 전이학습(Transfer Learning), 멀티태스크 러닝(Multi-task Learning)
AGI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인공지능 강인공지) | 인간 수준의 범용 지능을 갖춘 인공지능 |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 추론·학습·문제 해결 능력 보유 | 현재 개발 단계에 없음 | 구현 난이도 높음, 윤리·안전 문제 | 인지 구조 연구, 메타러닝
ASI (Artificial Super Intelligence, 인공지능 초인공지) | 인간 지능을 훨씬 능가하는 인공지능 | 창의성·문제 해결·감정 이해 등 모든 면에서 인간 초월 | 이론적 단계 | 잠재적 통제 불가능, 윤리적 위험 | 안전성 연구, 제어 이론
핵심 정리
– ANI는 현재 상용화된 AI 대부분이 해당하며, 특정 작업에 특화됨.
– ANI의 한계: 범용성 부족, 새로운 상황에 대한 적응력 부족.
– 한계 극복을 위한 연구: 전이학습, 멀티태스크 러닝.
– ANI 실제 사례: 스팸메일 필터링, 이미지 태그 자동 생성, 음성인식 기반 안내 서비스.
– 시험 대비 시, ANI·AGI·ASI의 정의와 특징, ANI의 한계와 극복 방향, 구체 사례를 명확히 구분하여 암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