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설명가능 인공지능(XAI) 핵심기법 – Comprehensibility

ㅁ 설명가능 인공지능(XAI) 핵심기법

ㅇ 정의:
사용자가 인공지능 모델의 동작 원리와 예측 결과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능력. 모델의 복잡성을 줄이거나, 결과를 사람이 해석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것을 목표로 함.

ㅇ 특징:
– 주로 시각화, 규칙 기반 설명, 예시 기반 설명 등을 활용
– 비전문가도 이해할 수 있도록 단순화된 표현 사용
– 모델의 신뢰성 향상 및 의사결정 지원에 기여

ㅇ 적합한 경우:
– 금융, 의료, 법률 등 설명 책임이 중요한 분야
– 규제 준수를 위해 모델의 의사결정 근거를 제시해야 하는 경우
– 이해관계자 설득이 필요한 프로젝트

ㅇ 시험 함정:
– Comprehensibility는 모델의 정확도를 높이는 것과 동일하지 않음(O)
– Comprehensibility는 항상 모델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특성이 아님(O)
– Comprehensibility는 모델의 투명성과 동일한 개념임(X)

ㅇ 시험 대비 “패턴 보기” 예시:
– “Comprehensibility는 비전문가도 모델의 결과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XAI의 특성이다.” (O)
– “Comprehensibility는 모델의 예측 성능을 반드시 향상시킨다.” (X)
– “Comprehensibility는 설명가능성과 투명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O)

ㅁ 추가 학습 내용

Comprehensibility와 혼동하기 쉬운 개념으로 Interpretability와 Transparency가 있다.
Interpretability는 모델의 내부 작동 원리를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Transparency는 모델의 구조와 파라미터가 완전히 공개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Comprehensibility는 최종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결과를 전달하는 데 초점을 둔다.

Comprehensibility를 높이기 위한 주요 기법에는 LIME, SHAP, Rule-based Models, Decision Trees, Counterfactual Explanations 등이 있다.
시험에서는 이러한 기법들의 장단점과 적용 사례를 묻는 문제가 자주 출제된다.
특히 “Comprehensibility를 높이면 항상 성능이 낮아진다”는 오답 패턴에 주의해야 한다.

답글 남기기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