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스템 구축: 로그 및 알림 – Grafana
ㅁ 로그 및 알림
1. Grafana
ㅇ 정의:
오픈소스 기반의 시각화 및 모니터링 도구로, 다양한 데이터 소스(예: Prometheus, InfluxDB, Elasticsearch)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대시보드 형태로 시각화하고, 알림 기능을 통해 이상 상태를 통지할 수 있는 플랫폼.
ㅇ 특징:
– 플러그인 구조로 다양한 데이터 소스 연동 가능
– 대시보드 템플릿 지원으로 재사용성 높음
– 알림 채널(Slack, Email, Webhook 등) 연동 가능
– 쿼리 기반의 유연한 데이터 조회 및 시각화
ㅇ 적합한 경우:
– 실시간 시스템 모니터링 및 이상 탐지 필요 시
–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통합하여 하나의 화면에서 관리하고자 할 때
– 운영팀, 개발팀이 공동으로 인프라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환경
ㅇ 시험 함정:
– Grafana 자체는 데이터 저장소가 아님 → 데이터 저장 및 수집은 외부 시스템 필요
– 알림 기능은 내장되어 있지만, 메트릭 수집은 하지 않음 (Prometheus 등 필요)
– Kibana와 혼동: Kibana는 주로 Elasticsearch와 연계, 로그 분석 중심
ㅇ 시험 대비 “패턴 보기” 예시:
– (O) Grafana는 Prometheus, InfluxDB 등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시각화할 수 있다.
– (O) Grafana는 Slack, Email 등 다양한 채널로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 (X) Grafana는 자체적으로 메트릭을 수집하고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 (X) Grafana는 로그 분석만을 위한 도구이며, 시각화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ㅁ 추가 학습 내용
Grafana의 Alerting 기능은 최근 버전에서 Unified Alerting으로 통합되어 대시보드 패널 기반 알림과 독립 알림 규칙을 함께 관리할 수 있다. 시험에서는 Grafana가 메트릭 시각화뿐 아니라 알림 라우팅 기능까지 제공한다는 점이 출제될 수 있다. Grafana Loki와 결합하면 로그 기반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데이터 소스별로 쿼리 언어가 다르므로 PromQL, InfluxQL, SQL 등의 차이를 이해해야 한다. Grafana Cloud 서비스와 온프레미스 설치형의 차이, RBAC(Role-Based Access Control) 기능, 대시보드 프로비저닝(코드로 대시보드 정의) 기능도 시험에서 중요한 포인트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