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스템 구축: 서비스 플랫폼 – API Economy
ㅁ 서비스 플랫폼
ㅇ 정의:
서비스 플랫폼은 다양한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사용자와 개발자, 비즈니스 파트너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 환경을 의미함.
ㅇ 특징:
– 다수의 서비스 제공자와 소비자가 참여 가능
–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확장성과 호환성 제공
– 클라우드, 모바일, IoT 등 다양한 환경과 연계 가능
ㅇ 적합한 경우:
– 여러 외부 서비스와의 연동이 필요한 경우
– 신규 서비스 출시 속도를 높이고자 하는 경우
ㅇ 시험 함정:
– 플랫폼과 단순 애플리케이션을 혼동하는 문제
– API Economy 개념을 단순 API 제공으로 축소하는 오류
ㅇ 시험 대비 “패턴 보기” 예시:
O: “서비스 플랫폼은 다수의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개방형 구조를 제공한다.”
X: “서비스 플랫폼은 특정 기업 내부에서만 사용하는 폐쇄형 시스템이다.”
================================
1. API Economy
ㅇ 정의:
API Economy는 기업이 API를 통해 자사의 데이터, 기능, 서비스를 외부에 개방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수익을 창출하는 경제적 활동을 의미함.
ㅇ 특징:
– API를 통한 서비스 확장과 생태계 구축
– 타사 서비스와의 손쉬운 통합 가능
– 네트워크 효과를 통한 가치 증대
– 표준화된 프로토콜(REST, GraphQL 등) 활용
ㅇ 적합한 경우:
– 기존 서비스의 기능을 외부 파트너와 공유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고자 할 때
– 스타트업, 파트너사와 협업하여 시장 진입 속도를 높이고자 할 때
ㅇ 시험 함정:
– API Economy를 단순한 기술적 API 제공으로 오해하는 경우
– API 제공이 곧바로 수익 창출로 이어진다고 단정하는 오류
ㅇ 시험 대비 “패턴 보기” 예시:
O: “API Economy는 외부 개발자가 기업의 기능을 활용해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한다.”
X: “API Economy는 내부 개발팀만 사용할 수 있는 내부 API를 의미한다.”
ㅁ 추가 학습 내용
API Economy와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의 연계
– Amazon, Google, Facebook 등은 API를 통해 서드파티 개발자 생태계를 조성
– 이를 기반으로 광고, 결제,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수익 모델 창출
API 설계 방식과 특징
– REST API: HTTP 기반, 자원 중심, 단순성과 범용성이 강점
– GraphQL: 클라이언트가 필요한 데이터만 요청 가능, Over-fetching/Under-fetching 문제 해결
– gRPC: 고성능, 양방향 스트리밍 지원, Protocol Buffers 사용, 마이크로서비스 간 통신에 유리
API 관리 도구와 개념
– API Gateway: 인증, 로깅, 트래픽 관리, 보안, 라우팅 등을 중앙에서 관리
– API Rate Limiting: API 호출 횟수를 제한하여 서버 과부하 방지 및 공정한 사용 보장
– 인증/인가: OAuth 2.0(권한 부여 프레임워크), JWT(JSON Web Token, 인증 정보 안전 전달)
API 유형과 활용 사례
– Open API: 누구나 접근 가능, 예) 공공 데이터 API, 지도 API
– Private API: 내부 시스템 전용, 기업 내부 서비스 연계
– Partner API: 특정 파트너와만 공유, 비즈니스 제휴 및 협력 목적
API 수익화 전략(API Monetization)
– 무료 모델: 생태계 확장, 사용자 기반 확보 목적
– 유료 모델: 사용량 기반 과금, 정액제
– Freemium 모델: 기본 기능 무료, 고급 기능 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