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트렌드: 생성형 AI – DALL·E

ㅁ 생성형 AI

ㅇ 정의:
대규모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이미지, 텍스트, 오디오, 영상 등을 생성하는 인공지능 기술로, 기존 데이터를 단순 변형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콘텐츠를 창작하는 것을 목표로 함.

ㅇ 특징:
– 대규모 딥러닝 모델(예: Transformer 기반) 사용
– 학습 데이터의 패턴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결과물 생성
– 이미지, 텍스트, 음성 등 다양한 멀티모달 생성 가능
– 프롬프트 기반 제어 가능

ㅇ 적합한 경우:
– 창의적인 콘텐츠 제작(광고, 디자인, 예술)
– 빠른 프로토타이핑과 시각 자료 생성
– 데이터 부족 상황에서 합성 데이터 생성

ㅇ 시험 함정:
– 단순 검색/추천 AI와 혼동하는 경우
– 기존 이미지 편집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
– 학습 데이터에 없는 완전히 새로운 개념 생성 여부 혼동

ㅇ 시험 대비 “패턴 보기” 예시:
O: “프롬프트에 따라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하는 AI 기술”
X: “기존 이미지를 단순 복사하는 AI”

================================

1. DALL·E

ㅇ 정의:
OpenAI에서 개발한 이미지 생성형 AI 모델로, 텍스트 설명(프롬프트)을 입력받아 해당 설명에 맞는 이미지를 생성함.

ㅇ 특징:
– GPT 아키텍처 변형 기반 이미지 생성
– 텍스트-이미지 매핑 학습
– 다양한 스타일과 구성의 이미지 생성 가능
– 부분 편집(Inpainting) 기능 지원

ㅇ 적합한 경우:
– 마케팅 이미지, 시각 자료, 창의적 일러스트 제작
– 아이디어 시각화 및 컨셉 아트 제작
– 빠른 시제품 이미지 생성

ㅇ 시험 함정:
– 단순 이미지 검색 서비스와 혼동
– 실제 사진 촬영과 구분 못하는 경우
– 저작권 문제와 모델의 창작 범위 혼동

ㅇ 시험 대비 “패턴 보기” 예시:
O: “텍스트 설명에 따라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하는 OpenAI의 모델”
X: “이미지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ㅁ 추가 학습 내용

DALL·E와 같은 생성형 AI는 확산 모델(Diffusion Model)이나 VQ-VAE와 같은 기반 기술과 비교하는 문제가 출제될 수 있다.
시험에서는 DALL·E의 발전 버전인 DALL·E 2와 DALL·E 3의 주요 개선점을 숙지해야 한다. 주요 개선점에는 해상도 향상, 사실성 증가, 프롬프트 이해도 향상, Inpainting 기능 강화가 있다.
Stable Diffusion, Midjourney 등 다른 이미지 생성 AI와의 차이점도 비교 학습이 필요하다.
또한 저작권 문제, 데이터 편향, 윤리적 이슈(Deepfake와의 차이, 악용 방지 정책) 등 사회·법적 측면이 시험 포인트가 될 수 있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법도 중요하며, 예를 들어 스타일 지정, 세부 묘사 강화, 부정 프롬프트 사용법 등을 익히면 실무와 시험 모두에서 유리하다.

답글 남기기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