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트렌드: 생성형 AI – Midjourney

ㅁ 생성형 AI

1. Midjourney

ㅇ 정의:
텍스트 프롬프트를 기반으로 고품질 이미지를 생성하는 AI 이미지 생성 플랫폼으로, 주로 예술적이고 창의적인 시각자료 제작에 특화되어 있음.

ㅇ 특징:
– 디스코드(Discord) 기반으로 작동하며, 채팅창에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이미지가 생성됨
– 사실적 표현보다는 예술적·환상적 스타일에 강점
– 다양한 스타일·해상도 옵션 제공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영향력이 큼

ㅇ 적합한 경우:
– 마케팅, 광고, 게임 아트, 컨셉 아트 제작
– 빠른 시각적 아이디어 스케치 필요 시
– 전문 디자이너 없이 시각 자료 제작이 필요한 경우

ㅇ 시험 함정:
– Midjourney는 동영상 생성 기능이 없다 → 잘못된 진술
– 오픈소스가 아니라 상용 서비스임
– 로컬 PC에서 직접 모델을 실행하는 방식이 아님

ㅇ 시험 대비 “패턴 보기” 예시:
– O: “Midjourney는 텍스트를 기반으로 예술적 이미지를 생성하는 AI 서비스이다.”
– X: “Midjourney는 주로 동영상 생성에 사용된다.”
– X: “Midjourney는 오픈소스 모델로 누구나 무료로 실행할 수 있다.”

ㅁ 추가 학습 내용

Midjourney는 생성형 AI 중 이미지 생성 분야의 대표적인 상용 서비스로, Stable Diffusion, DALL·E와 비교되는 문제가 자주 출제될 수 있다.
작동 방식은 디스코드(Discord) 기반으로 이루어지며, 로컬 설치형이 아니고 클라우드 기반 API 형식도 아니다. 사용자는 디스코드 채널을 통해 프롬프트를 입력하고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미지 생성 품질은 사실적 표현보다는 예술적 스타일에 강점을 보인다. 따라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중요성이 높다.
상용 라이선스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미지 저작권 정책은 상업적 이용 가능 여부와 유료/무료 플랜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이러한 라이선스 및 저작권 관련 세부사항은 시험에서 함정으로 출제될 수 있다.

답글 남기기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
*